역류성 식도염 증상과 예방
본문 바로가기

건강백과

역류성 식도염 증상과 예방

728x90
반응형

어제는 텔레비전에서 <나는 몸신이다>를 시청하였습니다. 주제는 '역류성 식도염'이었는데요. 평소 음식을 먹은 뒤엔 반쯤 누워서 티브이를 보는 성격이었던 저는 이 시간만큼은 자세를 바로 했답니다.

 

그래서 오늘은 역류성 식도염은 무엇이고, 그 원인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아래 내용의 대부분은 건강프로그램 <나는 몸신이다>에서 듣고 배운 내용을 발췌하였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이란

먼저 역류성 식도염이란 무엇일까요?

 

저도 정확한 의미는 몰라서 네이버 사전을 검색해보았는데요. '역류성 식도염'이란 우리 몸의 '위'에 있는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발생하는 염증 질환을 말한다고 합니다.

 

예를들면 갑자기 목구멍으로 뜨거운 위액이 역류할 때가 있지요? 바로 그런 경우가 지속되면서 발생하는 염증이라고 보시면 될 거 같아요

 

역류성 식도염은 단순히 염증 질환에 그치지 않고 위건강에 켜진 적신호라고 봐야 한다고 합니다. 일단 역류성 식도염은 완벽하게 치료가 힘들다고 해요.

반응형

약물치료를 병행하면 질환이 완화되지만 약물은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해주는게 아니라고 하더군요. 따라서 역류성 식도염에 걸리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고 더 심해지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답니다.

 

우선 역류성 식도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그중에서 방송에서 본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위산 과다 분비 되지 않도록 관리합시다

 

먼저 위산이 과다 분비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위산을 과다 분비하게 만드는 음식물 섭취를 줄여야 한다고 해요. 해당 음식에는 예시로 오렌지주스, 탄산음료(콜라, 사이다), 포도주, 초콜릿 등이 있습니다. 모두 제가 좋아하는 음식들인데 앞으로는 많이 먹지 않도록 조심해야겠어요.

역류성 식도염 증상의 예시

다음은 위산 과다를 의심해 볼 수 있는 증상의 예시입니다. 정확한 진단은 물론 전문가에게 맡기는 게 당연합니다.

 

증상의 예시로는 공복 시 속 쓰림이 발생하는데 식후 위통증 완화한다. 둘재, 평소 목에 이물감이 있으면서 마른기침을 3주 이상 한다면 역류성 식도염을 의심해야 한다고 해요.

 

위산이 너무 부족해도 문제입니다.

소제목처럼 위산이 너무 부족해도 좋지 않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우리가 삼킨 음식물은 위산에 녹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위산이 부족하게 되면 소화시간이 연장되기 때문입니다.

 

먹은 게 소화가 잘 안 되면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더부룩하고 식후 속 쓰림이 발생할 수 있지요. 참 알면 알수록 어려운 거 같아요. 

 

뱃살도 역류성 식도염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여러분 혹시 뱃살이 많이 잡히시나요?

 

뱃살도 역류성 식도염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왜 그런고 하니 지방이 복부를 차지하면서 장기에 받는 압력이 높아진다고 해요. 그렇게 되면 위가 눌리면서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실천하는 예방법

다음은 우리 일상생활에서 간단하게 실천할 수 있는 예방법입니다.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할까요?

 

  • 먼저 허리나 바지를 세게 조이는 옷과 액세서리(허리띠 등)를 자제하여 주세요.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복부지방처럼 '위'를 압박하지 않도록 편안한 옷차림을 하면 좋습니다.

 

  • 취침 시에는 베개나 쿠션을 위보다 높게 받쳐서 눕습니다. 높이는 15~20cm 정도가 적당하다고 하는데 아무래도 이 수치는 사람의 체격에 따라 차이가 있을거 같습니다.
 
이상 역류성 식도염 증상과 예방방법에 대하여 정리해보았습니다. 도움되시길 바라며,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식전 물과 식후 물 마시기

오늘은 일상생활에서 식전과 식후에 마시는 물에 대한 정보를 가져왔습니다. 여러분은 하루에 물을 몇 잔씩 드시나요? 이렇게 물어보는 저도 사실은 하루에 제대로 물을 섭취하지 못하고 있는

honbabrog.tistory.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